2021. 4월 공작기계 시장동향 3/3 > 전체보기
MWP코리아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.

절단과 판금 기사

산업동향 2021. 4월 공작기계 시장동향 3/3

페이지 정보

작성자절단과판금 댓글 0건 조회 406회 작성일 21년 07월

본문

20210728174441_f20bb976ff485de4cc9dcbdc9c6e72ac_xzc9.jpg

 

. 주요 국가 시장동향

1. 국가별 동향

JMTBA(www.jmtba.or.jp), ’21.5.6

’213월 공작기계 수주는 1,279억엔으로 전월대비 21.1% 증가하였으며, 전년동월대비로는 65.1% 증가

 

a1.jpg

 

ㅇ 내수수주는 405억엔으로 전월대비 32.9% 증가, 전년동월대비 18.2% 증가

- 업종별로는 일반기계(163억엔, +48.8%), 자동차(101억엔, +15.3%), 전기/정밀(49억엔, +61.8%) 모두 전월대비 증가

ㅇ 수출수주는 874억엔으로 전월대비 16.3% 증가, 전년동월대비 102.3% 증가

- 지역별로는 아시아(505억엔, +15.2%), 북미(214억엔, +19.1%), 유럽(141억엔, +15.6%) 지역 모두 전월대비 증가

’’211~ 3월 공작기계 수주는 3,221억엔으로 전년동기대비로는 36.8% 증가

 

대 만TMBA(www.tmba.org.tw), ’21.5.10

대만의 ’214월 공작기계 수출은 209백만불로 전월대비 6.0% 감소하였으며, 전년동월대비로는 13.6% 증가

ㅇ 절삭기계는 176백만불로 전월대비 2.6% 감소했으며, 성형기계는 33백만불로 전월대비 20.6% 감소

대만의 ’2114월 공작기계 수출은 805백만불로 전년동월대비로는 9.0% 증가

ㅇ 절삭기계는 658백만불로 전년동기대비 7.3% 증가, 성형기계 또한 147백만불로 전년동기대비 17.4% 증가

 

a2.jpg

 

a3.jpg

 

 

미 국AMT(www.amtonline.org), ’21.5.10

미국의 ’213월 공작기계 수주는 438백만불로 전월대비 16.1% 증가했으며, 전년동월대비로는 41.6% 증가

ㅇ 절삭기계 수주는 421백만불로 전월대비 16.1% 증가(전년동월대비 +37.5%), 성형기계는 17백만불로 전월대비 14.6% 증가(전년동월대비 +17.4%)

a4.jpg

 

a5.jpg

 

전경련 발표 600대 기업의 ’21.4월 실적치는 111.0으로 3112.9에 이어 양호한 모습을 보였으며, ’21.5월 기업경기 전망치는 107.7를 기록하며 지난 달 106.0 대비 1.7p 상승하며 전월과 비슷하게 긍정적 전망을 이어감함

BSI(기업경기실사지수, Business Survey Index) : 지수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좋고, 100 이하면 경기가 좋지 않다고 판단

a6.jpg

 

’’214월 자동차 생산은 11.8%, 수출은 52.8%(수출액 73.4%) 증가하였으나, 내수는 3.8%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

(생산)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에 따른 업체별 조업 조정*에도 불구하고,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.8% 증가한 323,644대 생산

*공장 가동중단 현황: (현대) 울산 1공장 4.7-14 중단, 아산공장 1.12-13/19-20 중단 (기아) 화성공장 특근취소, (한국GM) 부평공장 (휴업) 4.19-23, (50% 감산) 4.26-30 (쌍용) 4.8-16 중단

(내수) 개소세 효과 감소 등으로 3.8% 감소한 161,097대를 판매하였으나, 월간 판매대수는 ’20.4(16.7만대)에 이어 역대 두 번째 판매대수를 기록

* 20.3-6월 개별소비세 70% 감면 등 / ’21.1-6월 개별소비세 30% 감면

- (국산차) 제네시스 등 신차 효과로 전년 월평균(13.3만대)을 상회하였으나, 부품공급(반도체 등) 차질 등으로 6.3% 감소한 135,146대 판매

*’20년 내수판매는 역대 최다 판매대수를 기록

-(수입차) 대다수 브랜드의 판매 호조로 12.1% 증가한 25,951

*독일계 브랜드 : 벤츠(+11.0%), BMW(+1.7%) 등 판매 호조로 10.1% 증가

*미국계 브랜드 : 포드(79.2%), 링컨(115.9%) 등 판매 호조로 18.5% 증가

*국가별 판매 증감률(%) : 미국 18.5, 영국 0.6, 스웨덴 12.0, 이태리 5.7, 프랑스 13.5, 일본 25.8%

 

(수출) 전년 동월 수출급감(44.6%)에 따른 기저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52.8% 증가한 188,293, 수출금액은 73.4% 증가한 41.5억불

 

a8.jpg

 
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opyright ⓒ 월간 [절단과 판금]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